Friday, April 8, 2011

[왜냐면] 영어 망국병은 병이 아니라 사기다 2

[왜냐면] 영어 망국병은 병이 아니라 사기다 2 / 남태현
한겨레 기사등록 : 2011-04-08
http://www.hani.co.kr/arti/opinion/because/472092.html

저의 ‘영어 망국병은 병이 아니라 사기다’(<한겨레> 3월26일치 왜냐면)라는 글을 읽고 많은 분들이 공감하는 트위트를 보내주셨습니다. 원래 해도 잘 안되는 것을 내 탓이려니 자책하며 더더욱 열심히 하고, 또 그럴수록 자신이 아닌 사회 기득권층의 권위만 더욱 세워주는 ‘사기’를 당하고 있는 이 기막힌 현실을 안타까워했습니다. 하지만 어떤 분은 ‘공감은 하지만 현실을 어쩔 수 없다’고 하셨습니다. 또 어떤 분은 ‘방법이 문제이기는 하지만 영어를 배워야 하는 중요성은 타당하다’고 말씀해주셨습니다.

영어를 배우는 것은 중요합니다. 국제화 시대의 중요 언어로서 그 쓰임이 확산되어 있으니까요. 하지만 이런 시각은 국제화라는 것이 ‘미국화’는 아니라는 것을 간과한 것입니다. 리비아의 내전이 세계 각지의 에너지 수급에 영향을 미치듯 우리는 분명 국제화된 시대에 살고 있지만, 모든 것이 미국의 뜻대로 움직이는 미국화된 세상에 사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므로 영어의 쓰임과 필요는 한정되어 있고 영어는 그에 맞는 사람들만 하면 되는 것이죠. 소수의 잠재적 영어 우수자를 가리기 위해 사회 전체가 영어로 멍드는 것은 낭비이자 파쇼적인 현상입니다.

많은 분들이 모든 사람들이 영어를 하는 ‘어쩔 수 없는 현실’을 말씀하셨습니다. 하지만 다들 어쩔 수 없이 타협하는 현실이, 사실은 우리를 속이고 있음을 잊고 있을 때가 많습니다. 이 타협이라는 것이 많은 사람들의 일방적인 타협일 뿐 다른 쪽에선 애초에 타협할 마음조차 없던 짝사랑이기 때문입니다.

영어가 그냥 하나의 교과 과목인 시절이 있었습니다. 독일어 같은 발음으로 영어를 가르치시던 선생님에, 너덜너덜해진 <성문영어>가 다였습니다. 영어를 잘해봐야 거기서 거기였고, 경쟁은 있었지만 비교적 공평했습니다. 영어도 중요했지만 국어·수학·국사도 중요했고, 어제 있었던 축구 내기와 내일 있을 농구 내기도 꽤나 중요했죠. 하지만 이제 한국의 모습을 보면 이건 사람들이 비행기 안에서 담배 피우던 시절 이야기인 듯합니다.

요즘 한국의 영어 공부는 무슨 미래 영화를 보는 듯합니다. 영어유치원이 있더군요. 금발의 선생님이 영어로 가르치고 아이들은 영어로 노래를 부르며 소풍을 가더군요. 이 아이들에겐 미국의 명절도 낯설지 않습니다. 저도 미국에 와서야 알게 된 핼러윈 데이가 버젓이 학교 행사입니다. 마이클, 클라라 같은 미국 이름도 있습니다. 그 부모는 물론 마이클 엄마, 클라라 아빠입니다. 가는 학교도 외국인학교입니다. 이젠 미국계 학교로 갈지, 영국계 학교로 갈지도 고를 수 있더군요. 물론 외국인이 아니어도 돈이 있으면 가는 것 같았습니다.

어린 나이에 미국으로 연수도 갑니다. 휴가 때도 하와이에 해수욕을 가거나 로키산맥에서 스키를 타는 게 눈이 휘둥그레질 일이 아닙니다. 사는 게 이러하니 친구들을 만나도 “하이, 마이클”이고, 집에서 식구끼리 영어를 써도 이상한 것이 아닙니다. 이쯤 되면 영어는 그 집에선 이야깃거리도 되지 않습니다. 주제는 미국의 어느 대학에 갈 것인가도 아닌 미국의 어느 명문 고등학교에 갈 것인가입니다. 고등학교를 고르러 미국에 가서 이곳저곳 탐방도 합니다. 학교 행사가 있을 때 고등학생 자녀들을 보러 마이클 엄마, 클라라 아빠는 태평양을 휙 건너기도 합니다.

10년 전만 해도 이런 사람들은 잘 보이지도 않았고, 있어도 이상하게 보았을 것입니다. 하지만 이제 이들은 선망의 대상이자 따라가야 할 목표가 되어버렸습니다. 그리고 모두가 미친 듯이 뛰고 있습니다. 할 수 있는 만큼은 따라가자는 마음으로요. 사교육비로만 7조원을 쓰고, 나라에선 또 따로 원어민 교사를 고용하고, 영어 교사 재교육이다 뭐다 해서 돈을 쏟아붓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해서 과연 저 사람들의 영어를 따라갈 수 있을까요? 이게 따라가지는 건가요?


한때는 명품이었던 핸드백을 너도나도 들게 되면, 있는 사람들은 가만히 있지 않습니다. 더 귀하고 비싼 물건을 사서 자신들을 ‘차별’하지요. 쇼핑몰에 가면 이젠 읽기도 힘든 브랜드, 들어가기에도 멋쩍은 가게 천지 아닙니까? 마찬가지로 다들 영어학원을 다니면, 있는 사람들은 아이들에게 더 어릴 적부터 영어 공부를 시키거나 더 효과적인 그리고 비싼 방법으로 대응합니다. 하는 만큼은 따라해보지만, 빈부 차는 보통사람들의 영어 교육을 제약할 수밖에 없습니다. 사교육비로 가계가 흔들리고 무리한 기러기 생활로 가정이 무너져도 그렇게 시킨 영어 공부가 결국엔 그들을 따라잡는 데는 별 소용이 없는 것이죠. 보통사람들에게 영어 격차는 애초부터 극복하기 힘든 것입니다. 그러니 사기입니다.

혹 다들 영어에 성공했다고 칩시다. 모든 젊은이들이 ‘오렌지’ 대신 ‘어륀지’라고 하는 날이 왔다고 칩시다. 그럼 이들은 모두 성공할까요? 아닐 테죠. 또다른 무언가를 찾아 경쟁에 나서겠죠. 그리고 그 경쟁에서 있는 자들은 항상 저 멀리서 시작할 것입니다. 그것이 중국어가 됐건 독일어가 됐건 또 우리 사회는 이 사기를 되풀이할 겁니다. 그러니 영어망국병의 핵심은 영어 격차가 아닌 벌어져만 가는 빈부 격차와 이를 숨기고자 하는 정치적 최면인 듯합니다.

이것이 사기라면 사기당한 사람이 “어쩌란 말이냐”라고 묻는 것은 잘못된 것입니다. 피해자니까요. 대신 우리는 피해를 주고 있는, 피해를 방조하고 있는 자들을 추궁해야 할 것입니다. 정부의 정책은 이제까지 이 사기를 악화시키는 데 큰 일조를 했습니다. 이제라도 정부는 문제가 아닌 해결의 주체가 되어야 합니다.

한편으로 정부는 영어에 대한 국가적 특혜를 없애야 할 것입니다. 학교 교육에서 영어는 하나의 외국어일 뿐임을 강조하고, 대학 입시에서도 영어를 외국어 영역의 여러 외국어 중 선택할 수 있는 한 과목으로 바꾸어야 합니다. 다른 한편으로는, 그리고 더 근본적으로는 극단적이고 비뚤어진 경쟁과 갈수록 악화되는 빈부 격차가 우리 모두를 얼마나 아프게 하는가를 돌이켜보고, 이를 치유하기 위해 구체적이고 적극적인 정책을 당장 마련해야 합니다.